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흉곽출구증후군 손과 팔이 붓고 피부색도 변하는 통증 발생 질환 예방법을 알아보자
    건강이야기 2023. 10. 26. 11:37
    반응형

    흉곽출구증후군 이름은 신기한데 손과 팔이 붓고 거기에 피부색까지 변하는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 있다고 합니다 미리 정보를 알고 계시면 예방에 도움이 되겠죠?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어떤 질병인지 시작해서 원인, 증상, 목디스크와 차이점, 다양한 예방방법, 예방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 음식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목차

       

       

       

       

      1. 흉곽출구증후군이란 어떤 질병이죠?

      질병코드 G54 신경근 및 신경총 장애 해당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TOS)은 흉곽출구에서 발생하는 신경 및 혈관의 압박으로 인한 질환입니다.

      주로 20~40대 젊은 층에서 발생하며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약 3~4배 정도 많습니다.

      이 질환은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장시간 낮게 뻗은 자세로 일하는 직업인, 운동선수, 부상을 당한 사람 등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 흉곽출구증후군의 주요 증상으로는 팔에서 손까지의 저림, 통증, 붓기 등이 있으며 때로는 피부색까지 변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근전도 검사, 자기 공명영상(MRI) 등의 검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2. 흉곽출구증후군 원인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TOS)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1. 선천적인 원인

       

      •  쇄골이나 늑골의 과도한 성장
      •  쇄골이나 늑골의 갈라짐 등 구조적 이상

       

      2. 후천적인 원인

       

      • 외상: 흉곽출구 부위에 외부 충격을 받는 경우
      • 목 주변 근육의 경직: 목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흉곽출구 부위가 압박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상완신경총 주변 근위부 좁아짐
      • 상완신경총 주변에 있는 근육들이 압박을 가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활동과 관련된 원인

       

      • 오랫동안 목과 어깨에 부담이 가는 활동: 컴퓨터 조작, 공장 조립 업무 등의 원인
      • 반복적이고 스트레스성인 활동: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일들

       

      4. 기타 후천적인 원인

       

      • 쇄골 및 제1 늑골 골절
      • 어깨 탈구 - 상지의 외상 등 흉곽출구증후군은 신경성, 정맥성, 동맥성으로 분류됩니다.
      • 그중에서도 신경성 원인이 가장 흔하며 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합니다. 정맥성은 약 2~3%, 동맥성은 1% 미만입니다.

       


       

       

      3. 흉곽출구증후군 증상

      아래는 흉곽출구증후군을 나타내는 증상입니다 아래 증상들은 각 개인 만다 약간의 차이점이 있지만 대부분 찾아오는 증상을 모아서 작성해 보았습니다

       

      1. 새벽에 통증 및 저림이 심해 잠에서 깨는 경우가 ( 많음 )

       

      흉곽출구 부위의 압박으로 인해 신경 및 혈관에 영향을 주어 증상이 악화되어 잠에서 깨는 경우가 많을 수 있습니다.

       

      2. 손을 어깨 위로 들어 올리면 신경 압박으로 인한 증상

       

      손을 어깨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은 흉곽출구 부위의 공간이 좁아져 신경에 더 큰 압박이 가해져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3. 사각근(Musculus scalenus) 긴장으로 인한 증상

       

      주로 사각근 긴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목의 근육들이 긴장되고 압박을 받게 됩니다.

       

      4. 팔, 손의 통증 및 저림 등 다양한 감각 이상

       

      흉곽출구 부위의 신경 압박으로 인해 팔과 손에 통증, 저림 등의 감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두통

       

      상완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두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한쪽 머리를 돌리거나 움직일 때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6. 혈관 압박에 따른 증상 변화

       

      신경 압박과는 다르게 혈관 압박인 경우 팔 혈관 주변 온도가 낮아지거나 창백해지며, 손 부위에 부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통증과 감각 이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발생할 수 있고

      혈관 압박인 경우 손 부위의 부종과 차가운 느낌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흉곽출구증후군을 의심하는 경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신경과, 흉부외과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흉곽출구증후군 자가테스트

      간단한 자가진단 테스트로 흉곽출구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4가지 단계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1.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양어깨를 앞으로 내밀어 척추와 병행하도록 합니다.

      2. 양팔을 모두 들어 올린 후 손을 쥐고 펴는 동작을 3분간 반복합니다.

      3. 이때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립니다.

      4. 동작 중 팔, 어깨, 가슴 등에 통증이나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에서 전문가의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위 자가진단 테스트는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팔과 어깨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증상 유무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만약 팔꿈치를 구부리고 손목과 손바닥이 등각성 각도(90도) 보다 작은 범위로 움직일 때 통증이나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흉곽출구증후군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참고용으로만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5. 흉곽출구증후군 어떤 사람이 잘 걸리게 되나요?

      흉곽출구증후군은 다양한 증상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지만 특히 아래에 해당되는 직업을 가지고 계신다면 더욱더 건강에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1. 스포츠 선수

       

      야구, 테니스, 골프 등 팔과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 활동을 하는 선수들은 흉곽출구증후군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2. 음악가

       

      연주자들은 악기를 연주하거나 손으로 악기를 다루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흉곽출구 부위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3. 군인

       

      군인들은 무거운 전투장비나 무기를 어깨에 짊어지고 긴 시간 동안 이동하므로 흉곽출구 부위에 부하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4. 교통사고 환자

       

      차량 사고로 인해 안전벨트 충격을 받거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있는 경우 흉곽출구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컴퓨터 프로그래머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 작업을 하면서 자세적인 문제와 근육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흉곽출구 부위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6. 무거운 물건을 들고 다니는 직업

       

      물류 작업자, 자동차 수리기사 등은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어야 하므로 흉곽출구 부위에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7. 선천적인 구조 이상

       

      일부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흉곽 출구 부위의 구조적 이상이 있어서 흉곽출구증후군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집단들에서 흉곽출구증후군이 잘 발생한다는 것이지만 개별적인 상황과 신체 조건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6. 흉곽출구증후군과 목디스크의 차이점

      흉곽출구증후군과 목디스크는 둘 다 상체의 통증과 증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각각의 다른 원인과 특종을 비슷하게 나타내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 표에서 좀 더 알아보기 쉽게 확인해 보겠습니다

       

        흉곽출구증후군

      목디스크

      원인 -팔과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활동
      -반복적인 운동
      -직업적 요소
      경추 디스크의 변형 또는 손상
      주요 증상 -어깨와 팔에 통증
      -저림
      -뻐근한 느낌
      -목의 통증
      -경련
      -근육 약화
      -저림
      위치 어깨와 상체 상부 목과 상위 팔 부분
      증상 영향 부위 새끼손가락에서 팔 안쪽  엄지손가락에서 팔 바깥쪽
      운동 및 자세
      반응
      팔을 앞으로 쭉 뻗은 뒤 위로 올릴때 아프다 머리를 뒤로 팔짱을 낄떄 좀 더 현안하 느낌이든다
      시간대별
      발생 및
      부종
      -주로 밤이나 새벽에 통증이 심함
      -아침에 손 부종 등 추가증상 나타남
      지속적인 증상이 발생
      진단과
      치료
      신경과,흉부외과,심장내과,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외가,정형외과
      치료방법 -약물치료
      -물리치료
      -근력강화 운동
      -수술
      -약물치료
      -물리치료
      -안정성 운동
      -수술

       


       

      7. 흉곽출구증후군 진단

      흉곽출구증후군의 진단에는 다양한 이학적 검사가 중요하며, 첨단 의료 장비인 MRI나 근전도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신경의 주행 경로를 따라 신경이 압박될 수 있는 모든 곳에서 이학적 검사와 고식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진단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수근관 증후군, 척골관 증후군, 주관 증후군 등 다른 가능성 있는 원인들을 배제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흉곽출구증후군 진단에 사용되는 몇 가지 추가적인 검사들입니다:

       

       

      1. EAST 검사

       

      EAST(Electrodiagnostic Assessment of Thoracic Outlet Syndrome) 검사는 흉곽출구증후군을 평가하기 위한 전기진단검사입니다. 근전도와 신경전도 검사를 포함하며, 신경 및 근육의 기능 상태와 압박 여부를 확인합니다.

       

      2. 과외 전 검사

       

      과외 전(Adson's maneuver) 검사는 어깨를 180도 벌린 후 팔꿈치를 굽혔을 때 맥박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한쪽 맥박이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경우 흉곽출구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3. 방사선 검사

       

      종양, 혈전, 동맥류 등 증상을 유발하는 압박의 원인을 찾기 위해 방사선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에는 X-선, CT 스캔, MRI 등이 포함됩니다.

       

      4. 혈관조영검사

       

      혈관 조영검사는 혈관의 구조와 혈액 흐름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흉곽출구증후군과 관련된 혈관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시행될 수 있습니다.

       

      5.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

       

      근전도와 신경전도 검사는 신경 및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평가하여 흉곽출구증후군과 관련된 신경 손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8. 흉곽출구증후군의 치료방법

      흉곽출구증후군의 치료 방법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1. 신경차단술

       

      초정밀 신경탐색기를 사용하여 이상신경을 찾아 즉각 차단하는 비수술적인 치료로, 통증 완화와 원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약물 및 물리치료

       

      소염제, 혈관 확장제 등의 약물과 물리치료를 통해 증상 호전이 가능합니다.

       

      3. 수술

       

      6개월 이상 증상 호전이 없거나 심각한 경우에 고려되며, 전사각근이나 제1늑골 절제 등을 통해 흉곽출구를 넓혀줍니다.

       

      4. 수술 방법

       

      쇄골 상부접근법, 쇄골 하부접근법, 겨드랑이 접근법 등 전통적인 방법 외에도 흉강경수술 또는 로봇수술로 대체됩니다.

       

      5. 재활 및 자세 교정

       

      수술 후에도 재활과 자세 교정은 중요하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흉곽출구증후군 치료는 환자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별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9. 흉곽출구증후군 예방방법

      일상 속에서 흉곽출구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들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평소 이러한 습관을 들여 자주자주 예방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 여러 가지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1. 스트레칭

      매일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근육을 유연하게 유지합니다. 각 동작은 10초간 유지하며, 3세트를 반복합니다.

       

      2. 자세 관리

      목이나 어깨에 무리가 되는 자세를 피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합니다. 특히, 굽은 자세나 지나치게 앞으로 기울어지는 자세를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일상생활 주의사항

      흉곽 출구 부위가 좁혀지는 동작들(무거운 물건 들기, 과도한 컴퓨터 사용, 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자는 잠버릇 등)에 주의합니다.

       

      4. 골반 조절과 운동

      하체의 움직임과 흉곽출구증후군은 관련이 있으므로 골반이 틀어지고 허리통증이나 보행 문제가 나타난다면 적시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지속적인 운동은 근골격계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신체적, 정신적 안정을 추구합니다. 스트레스는 근육 긴장과 자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처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10. 흉곽출구증후군 예방에 좋은 영양제와 음식들

      흉곽출구증후군 예방을 위해 다양한 음식과 영양제를 고려해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아래에는 흉곽출구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음식 및 영양제를 알아보았습니다

       

      1. 항염식품

       

      염증을 줄이고 근육의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항염 작용이 있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에는 과일과 채소, 녹차, 생강, 우유 등이 포함됩니다.

       

      2.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은 염증을 감소시키고 근육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지방산은 청어, 연어, 등의 지방성 물고기, 호두, 아마씨 등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3. 항산화제

       

      항산화 작용으로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음식들은 흉곽출구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식품으로는 베리류(블루베리, 딸기, 라즈베리 등), 당근, 고구마, 녹색 잎채소 등이 있습니다.

       

      4. 비타민 D

       

      비타민 D는 근육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연적인 태양광에 노출되거나 비타민 D 함유 식품(우유, 요구르트, 계란 등)을 섭취하여 충분한 비타민 D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족한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하여 영양제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5. 콜라겐

       

      콜라겐은 근육과 연조직의 건강을 지원하는 중요한 단백질입니다. 이를 위해 콜라겐 함유 식품(가다랑어, 닭고기, 돼지고기 피부 등)을 섭취하거나 콜라겐 보충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위의 음식들과 영양제는 흉곽출구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옵션입니다. 그러나 개인의 상황과 건강상태에 따라 영양 섭취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을 마치면서

      2020년 서울 아산병원 흉부외과 교수팀이 10월 국내 최초로 흉곽출구 증후군 로봇수술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만큼 치료할 수 있는 방법들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장시간 컴퓨터 사용, 운전 등 목을 한 자 세로 오랫동안 고정하게 되면 꼭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습관을 들여보시는 건 어떨까요?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