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고보면 서로다른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로 부터 건강 지키기건강이야기 2023. 9. 3. 12:06반응형
알고 보면 서로 다른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방법들과
예방 그리고 증상까지 다양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박테리아란 무엇인가요??
박테리아는 원자, 분자, 세포로 이루어진 미생물 중 하나로, 단세포 생물체입니다. 박테리아는 다양한 모습과 크기를 가지며, 주로 구형, 막대형, 나선형 등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환경에서 발견되며, 토양, 물, 공기 등 다양한 자원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박테리아는 양성과 음성 모두 존재하며 일부 종류는 인간과 동식물에 유익하거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병원성 박테리아는 감염을 일으켜 식중독이나 감기 같은 질병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바이러스와 달리 박테리아는 세포 구조 안에 DNA와 기타 유전적인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자체적으로 번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분열 과정인 이분법(reproduction by binary fission)으로 번식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증식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란 무엇인가요??
바이러스(Virus)는 간단히 말해 병원성 유전체로, 생명체 내에서 번식하는 미생물입니다. 바이러스는 세포의 기계를 이용하여 자신을 복제하고 번식합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 침입하여 그 안에서 자신의 유전 정보를 이용하여 단백질과 다른 바이러스 유전체를 합성합니다.
바이러스는 세포에 의존하여 번식하기 때문에 호스트라고 불리는 생물체나 조직에 감염되어야만 활동할 수 있습니다.
감염된 호스트 세포에서 바이러스는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형성하고, 이들 입자는 다른 세포로 전파됩니다. 바이러스는 주로 DNA나 RNA와 같은 유전 정보를 가지며, 이것을 게놈(Genome)이라고 합니다.
바이러스가 인간과 동물에게 질병을 일으키기도 하며, 예시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IV(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SARS-CoV-2(코로나바이러스) 등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차이점
둘 다 미생물에 속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차이점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구성
▶바이러스: 단백질 캡슐(커버)로 감싸인 유전물질(일반적으로 DNA 또는 RNA)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입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서 번식하려면 호스트 세포를 감염시켜야 합니다.
▶박테리아: 독립된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DNA와 RNA를 비롯한 복잡한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박테리아는 자체적으로 번식할 수 있는 생물체입니다.
크기
▶바이러스: 매우 작은 크기로서, 일반적으로 전자 현미경으로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20-300 나노미터 사이의 크기를 가지며, 상당히 작은 것들도 존재합니다.
▶박테리아: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일반 광학 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0.5-5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다양한 모양과 형태가 있습니다.
생명력
▶바이러스: 자체적인 대사 활동을 수행하지 않으며 호스트 세포 내에서만 번식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에 의존하여 에너지와 리소스를 이용합니다.
▶박테리아: 자체적인 대사 활동을 수행하고 에너지 생산과 영양소 흡수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어 독립된 생명체로써 존재합니다.
병원성
▶바이러스: 일부 바이러스 종류는 인간과 동물에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시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HIV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박테리아: 일부 박테리아 종류는 인간과 동물에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시로 살모네헤일라균(Salmonella) 또는 스트렙트코쿠스(Streptococcus) 등 여러 가지가 포함됩니다.
치료 방법
▶바이러스: 항바이럴 약물 중 몇 안 되는 경우에만 효과가 있는 항바이럴 약무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예방 접종 방법도 사용됩니다.
▶박테리아: 항생제나 기타 약제들에 의해 치료될 가능성있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요소들은 일반적인 차별화 요소입니다만, 모든 규칙에 예외가 있다고 명심해야 합니다.
박테리의 감염원인
감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병원체 (Pathogen)
질병을 유발하는 미생물을 가리키는 용어로, 박테리아 중에서도 병원성 박테리아가 해당됩니다.
전파 (Transmission)
병원체의 전파 경로를 의미하며, 주로 직접 접촉, 비말, 공기 중에서의 전파 등이 있습니다.
호스트 (Host)
병원체가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생물체를 가리킵니다. 인간이나 동물 등이 호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감염 경로 (Route of Infection)
병원체가 호스트 체내로 침입하는 경로를 말합니다. 피부 상처, 소화기관을 통한 섭취, 호흡기를 통한 더럽게 등 다양한 경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증식 (Proliferation)
감염된 박테리아가 호스트 체내에서 증식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바이러런스 팩터 (Virulence Factor)
병원성 박테리아에서 분비되거나 발현되는 분자 또는 구조 요소입니다. 이들은 감염력과 질병 심각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항균제 내성 (Antibiotic Resistance)
일부 박테리아 종류는 항생제에 대해 내성(저항성)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항생제 치료의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군집감염 (Nosocomial Infection)
건강 시설(병원 등)에서 발생하는 감염으로서 환자들 사이 또는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서 전파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바이오필름 (Biofilm)
일부 박테리아 종류는 생물막 혹은 바이오필름으로 알려진 장벽 구조를 형성하여 자신들을 보호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켜 줍니다. 위의 용어들은 박테리아 감염과 관련된 개념과 용어입니다.
박테리아의 종류들
종류별로 박테리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1. 구균 (Cocci)
- 공변성 구균 (Cocci in pairs): 드레모코쿠스(Diplococcus)
- 두 개의 구균이 서로 붙어있는 형태를 가지며, 주로 호흡기 감염과 관련됩니다.
- 사슬구균 (Cocci in chains): 스트렙토콕쿠스(Streptococcus)
- 여러 개의 구균이 사슬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중이염, 폐렴 등 다양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클러스터구균 (Cocci in clusters): 스타피로박터(Staphylococcus)
- 다수의 구균이 군집을 이루는 형태를 가지며, 피부 감염, 심장파동 등 다양한 질환과 관련됩니다.
2. 막대균 (Bacilli)
- 평형 막대균 (Equal-sized Bacilli): 에셔리히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 일반적으로 장 내에서 발견되는 세균포입니다. 대부분은 유익하게 작용하지만 일부 종류는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긴 막대균 (Long Bacilli): 리스테리아(Listeria)
- 주로 토크소플라스마(Tokso plasma)와 함께 육류나 육류 제품에서 발견되며, 식중독과 관련된 위험이 있습니다.
- 곡선 막대균 (Curved Bacilli): 헬리코박터(Helicobacter)
- 위젯암과 관련된 세계적인 인간 병원체입니다.
3. 나선포자말림체군(Spirochaetes spirochetes group)
- 나선포자말림체 구형군(Spirochaetes spirochetes group): 보렐리아(Borrelia)
- 저착열(Borrelia burgdorferi)은 라임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벡터인 진드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4. 기타 주요 박테리아
- 혐기성 세균클로스트라디움(Clostridium perfringens) : 장내 세금재브셀라 치핵성 세긍재브셀라
(Vibrio cholerae) : 장내세긍재브셀라
위에서 소개한 종류들은 주요 박테리아 종류이며, 각각은 다른 생물학적 특성과 병원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목록은 모든 박테리아 종류를 포괄하는 것이 아니므로 참고용으로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테리아 단계별 감염증상
일반적인 박테리아 감염의 초기부터 완전한 감염 상태까지의 증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실제 증상은 환자의 상태와 특정 박테리아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
▶발열과 오한
▶피로감과 체력 저하
▶두통과 근육통
▶발진 또는 피부 발적 등
진행되는 증상
▶병소 부위의 붓기, 붉어짐, 열감 등 염증 반응
▶병소 부위에서 액체나 독물 배출 (농양 형성)
▶복부 통증, 설사 또는 변비 등 소화기 관련 문제
▶호흡곤란, 기침, 가슴 통증 등 호흡기 관련 문제 - 오심과 구토
심각한 감염 상태
▶고열 (39°C 이상) 및 극심한 체온 상승
▶혈액 중독 (세균성 패혈증)
▶중추신경계 문제 (두통, 경련, 혼미)
▶장기 손상 또는 기능 장애 (간장애, 신장손상 등)
특정 박테리아에 따른 추가적인 증상
스트리트코쿠스(Streptococcus)
인두염, 폐렴 등 호스트에게 다양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엽산 결핍으로 인해 홍색열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사모넬라(Salmonella)
설사와 구토회가 주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대장균(Escherichia coli)
위장관 감염으로서 설사와 복부팽만 같은 이착륙됩니다.
만약 의심되는 박테리아가 생길 경우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바이러스 박테리아 리케차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리케차(Virus and Bacterial Lysogeny)는 미생물의 생명주기에서 특정한 단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세부적으로 좀 더 자세히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바이러스 리케차 (Viral Lysogeny)
▶바이러스 리케차는 바이러스가 호스트 세포에 감염되고, 그 후 잠복 상태로 들어가서 유전자를 호스트의 유전체에 통합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감염된 세포 내에서 복제하고 새로운 바이러스를 생성하여 세포를 파괴하는데, 리케차 상태에서는 바이러스 유전자가 호스트의 DNA에 삽입되고 "프로바이러스"라고 불리는 형태로 유지됩니다.
▶프로바이러스 상태에서 바이러스 유전자는 세포 분열과 함께 복제되며, 호스트 세포가 활성화될 때 다시 활성 상태로 전환됩니다.
이렇게 장기간 잠복한 후 활성화되어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프로바이러스 상태를 가진 호스트들은 장기간 동안 증상 없이 보유할 수 있습니다.
박테리아 리케차 (Bacterial Lysogeny)
▶박테리아 리케차 역시 비슷한 개념으로서, 박테리오파지라고 알려진 특정한 종류의 박터리오 파지(bacteriophage)가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박터리오 파지도 프로 파지(Prophage)라고 불립니다. 프로파 지는 박트리아의 역사적인 유전체 중 하나인 역학유전체(prophage genome)입니다.
▶프로 파지는 호스트 박트리아의 DNA에 삽입되며, 해당 DNA 조각은 여타의 유효한 집단으로 번식하거나 전달됩니다.
▶프로 파지 상태에서 어떤 조건 하에서 꺾일 경우(윗부분), 그것은 활성화된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꺾임 혹은 꺾일 경우(위아래 모습), 그것은 비활성화된 모습으로 낮춰져 있습니다.
슈퍼박테리아란 어떤 것일까요??
슈퍼박테리아(Superbacteria)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발전시켜 일반적인 항생제로 치료하기 어려운 박테리아를 말합니다.
이러한 박테리아들은 다양한 항생제에 저항성을 가지며, 이는 유전자 변이나 전달, 오남용 된 항생제 사용 등 여러 요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슈퍼박테리아의 등장으로 인해 감염 질환 치료가 어려워지고, 익스블룻롱 기구 사용 등 복잡한 응급처치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일상 예방법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일상 예방법들을 따를 수 있습니다:
손 씻기
규칙적이고 올바른 손 씻기는 감염의 주요 경로인 손으로부터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비누와 물을 사용하여 20초 이상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마스크 착용
호흡기로 전파되는 바이러스의 경우, 공공장소나 병원 등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착용 방법과 사용 시간에 유의해야 합니다.
예방 접종
백신은 많은 감염병에 대한 예방 수단으로 효과적입니다. 정기적으로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하며, 최신 백신 정보를 확인하여 권장되는 접종을 받도록 합니다.
체온 관리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 면역력이 약해지므로, 체온 조절에 신경 써야 합니다. 춥거나 덥지 않도록 옷차림과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각 개인의 편안한 체온을 유지합니다.
건강한 생활습관
건강한 식단,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운동은 면역체계를 강화하여 감염에 대항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호흡기 위생
기침 또는 재채기할 때는 팔꿈치 안으로 혹은 휴지나 손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사용한 후에는 즉시 폐기합니다.
정기적인 청소와 위생 관리
주변 환경의 위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집이나 작업 공간 등을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방귀진료사용준비위원회실행화면 명신헷여함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전파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1-2m)을 준수하여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합니다.
음식 안전 관리
음식 조리 시 생선 된 부분 아래까지 완전히 요리되도록 하고, 신선한 식재료만 섭취하며 음식 보관 시 올바른 방법으로 보관합니다.
여행 시 주의사항
여행할 때는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질병 정보와 여행자 안전 가이드라인에 따라 준비하고 예방 조치를 취합니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예방하기 좋은 영양제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대한 영양제는 직접적인 치료를 대체하지는 않지만,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시켜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감염과의 싸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에 좋은 영양제
비타민 C (Ascorbic Acid)
항산화 작용과 면역 시스템 강화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입니다.
아연 (Zinc)
면역 기능 강화와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미네랄입니다.
비타민 D (Vitamin D)
면역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으로, 일부 바이러스 감염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오메가-3 지방산
염증 조절과 면역 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지방산입니다.
프로폴리스 (Propolis)
벌들이 만드는 천연 물질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습니다.
로열 젤리 (Royal Jelly)
건강한 면역 체계 유지와 회복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젤리로, 항바이러스 효과도 일부 보고되고 있습니다.
성모초 추출물 (Echinacea Extract)
면역 활성화를 증진시켜 일부 바이러스 예방 능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초록 차 추출물
항산화 작용과 면역 시스템 지원 효과가 있는 다양한 화합물들로 구성된 추출물입니다.
박테리아에 좋은 영양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장 내 유익균의 균형 조절과 소화 개선 등 장건강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보충제입니다.
프렌즈오브미크로벡터(Friends of Microbe Vectors; FMVs)
닥터류가 생태계를 지원하고 균형인간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성분들의 복합체입니다.
박테리아는 세균으로 단세포 생물체이며, 일부는 유익하고 일부는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아주 작은 병원성 유전체로, 세포 내에서 번식하며 인간과 동물에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방 조치와 전문가의 도움으로 건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통증 부위별로 발생하는 질병과 예방법 (1) 2023.09.05 갑작스러운발바닥 통증 족저 근막염을 의심해보자 (1) 2023.09.05 기억력이 흐려지고 판단력이 떨어진다면 치매를 의심하세요 (1) 2023.09.02 어린이와 유아 그리고 노인에게 위험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0) 2023.08.30 단세포군감마글로불리병증으로 부터 건강지키기 (1) 202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