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적인 건강상태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건강이야기 2023. 10. 13. 00:45반응형
전문적인 건강 상태란 개인 또는 집단이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과 관련해서 인지하거나 지각하는 모든 측면에서의 특성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질병 및 장애 등 의학적 진단 여부와는 관계없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불편함 혹은 고통(discomfort)이다. 이러한 건강 상태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주관적 건강 상태’이고, 둘째는 ‘객관적 건강 상태를 말한다
전자는 주로 심리학 분야에서 연구되는 개념이고 후자는 생물의학 분야에서 다루는 개년을 이야기한다. 자신의 건강 상태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본인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병원 진료나 검사 결과지 등 공식적인 자료를 참고해야 한다는 점을 알아두면 좋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신뢰하지 않고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은 정보를 근거로 판단하곤 한다. 하지만 잘못된 정보를 토대로 한 자가진단은 오히려 병을 키울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거나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가야 할까?
증상만으로 특정 질환을 의심하긴 어렵다
다만 발열,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설사, 구토, 메스꺼움,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오한, 가슴통증, 호흡곤란, 체중감소, 식욕부진, 혈뇨, 황달, 부종, 피부발진, 손발톱 변화 등 다양한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면 감염성 질환이거나 암 같은 중증질환일 가능성이 높다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들
또한 위궤양, 위염, 십이지장궤양, 역류성 식도염, 간염, 간경화, 지방간, 췌장염, 담낭염, 폐렴, 폐결핵, 늑막염, 뇌수막염, 대상포진, 요로감염, 방광염, 신우신염, 전립선염, 난소암, 자궁근종, 자궁경부암, 유방암,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당뇨병, 통풍, 관절염,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외상 후스트레스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매,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루게릭병, 만성피로증후군, 섬유근육통, 쇼그렌증후군, 베체트병,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류머티즘관절염, 강직성척추염, 루프스, 아토피피부염, 천식, 알레르기비염, 결절홍반, 레이노증후군, 백반증, 원형탈모증, 흑색종, 건선, 다형광발진, 두드러기, 편평 사마귀, 곤지름, 사마귀, 무좀, 티눈, 굳은살, 여드름, 지루성피부염, 탈모, 켈로이드, 모낭염, 화농성육아종, 농가진, 옴, 매독, 에이즈, B형 간염, C형 간염, 성병, 임질, 클라미디아, 헤르페스, 칸디다증, 트리코모나스 질염,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 비임균성 요도염, 골반염, 결핵, HIV/AIDS, 기생충, 말라리아, 라임병, 브루셀라증,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병, 발진열, 재귀열, 유행성 출혈열, 뎅기열, 에볼라바이러스병, 지카바이러스병, 치쿤구니야열, 신종 인플루엔자, 메르스, 사스,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웨스트나일열, 황열,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살모넬라 식중독, 장염,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위장염, 캄필로박터 제주니 대장균, 캠필로박터 사카자키,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바실루스 세레우스,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시겔라, 쉬겔라, 이질아메바, 람블편모충, 아메바성 이질, 원포자충, 톡소플라스마 곤데, 황색포도상구균, 보툴리누스 중독증,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샤가스병, 광견병, 공수병, Q열, 야토병, 큐열, 라싸열, 니파 바이러스 감염증, 아프리카 수면병, 주혈흡충증, 요우스, 핀타, 리프트밸리열, 마버그열, 레지오넬라증, 진드기매개뇌염, 유비저, 일본뇌염, 말레이사상충증, 남아메리카 흡혈파리, 사상충증, 포충증, 림프사상충증, 회충증, 조충증, 무구조충증, 아니사키스증, 선모충증, 콕 시디오이데스 진도증, 참굴 큰 입흡충증, 동양모양선충증, 와포자충증, 간질폐렴, 백일해, 디프테리아, 풍진, 홍역, 볼거리, 수두, 소아마비, 천연두, 탄저병, 페스트, 황열, 독감, A형 간염, B형 간염,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증, 단순포진, 대상포진, 수족구병,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급성호흡기감염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콕사키바이러스 감염증, 에코바이러스 감염증, 레오바이러스 감염증, 메타뉴모바이러스 감염증,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증,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 감염증,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감염증, 다제내성녹농균 감염증, 다제내성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 감염증, 카바페넴내성장 내 세균 속균종 감염증, 장관감염증,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 기회감염증, 종기, 연조직염, 단독, 봉와직염, 림프관염, 피하농양, 괴저, 골수염, 패혈증, 복막염, 욕창, 농흉, 기관지확장증, 기흉, 흉막삼출등의 수많은 병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외에도 많은 질병들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만큼 더욱더 건강관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건강이란 무엇일까?
사전적 정의로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아무 탈이 없고 튼튼함이라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건강과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건강은 조금 다른 것 같다 한국사람들은 주로 몸이 아프지 않으면 건강하다고 생각하지만, 외국에서는 신체적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건강해야 진짜 건강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최근엔 심리상담사라는 직업도 많이 각광받고 있고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건강이라는 단어가 쓰이는데 과연 어떤 의미인지 궁금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현대사회에서 말하는 건강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현대 사회에서의 건강은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좁은 의미의 질병 예방뿐만 아니라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종합적인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인에게 알맞은 영양과 운동, 휴양,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를 실천하려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건강해질 수 있까?
가장 먼저 자신의 생활 습관을 되돌아보는 것이 좋은 모습니다 잘못된 식습관이나
음주, 흡연, 운동 부족 등 좋지 않은 생활 습관들을 가지고 있다면 개선하려고 노력해야만 한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병원에 방문해서 건강검진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특히 암 같은 경우 초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인 검사만이 조기 발견 및 치료 기회를 높일 수 있고 발견하기도 싶다
건강과 행복을 지키는 것은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마음가짐 역시 건강관리에 큰 도움이 된다는 걸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요즘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고통받고 있었던 게 얼마 지나지 않았다
이럴 때일수록 모두 힘을 합쳐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삶에서의 행복과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비결이라고 생가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위생관리는 필수라는 말이다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의무는 아니지만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만으로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니 다 같이 동참했으면 좀 더 질병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반응형'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렴 노란색 가래가 고름처럼 배출된다면 성인 소아 할것없이 병원 검사가 필요해요 (0) 2023.10.13 건망증 혹시나도? 핸드폰,차키위치 자주잃어버린다면 예방방법을 잘 알아두어야 치매를 막을수 있어요 (2) 2023.10.13 이상지질혈증 기억이 가물가물하고 잘 잊어버린다면 치매가 아닌 고지혈증 일수도 있어요 (0) 2023.10.13 소아비만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는 나쁜 요소 예방법과 건강한 다이어트법 (1) 2023.10.12 고혈압 무서운 합병증을 나타내는 질병의 예방방법과 치료법 알아보기 (0) 2023.10.12